🤓 [이번 스터디 공부한 내용]

DFS+BFS 문제집 : 9205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
DFS+BFS 문제들이 많이 있어서 공식(?)들에 익숙해지는데 도움이 되었다. 
DP 문제로 푸는 것을 아는법이 최대,최솟값을 여러번 구하는? 팁도 알 수 있었다.
class 3: 2178 미로 찾기
시간 초과 없이 BFS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고민해 봐야 겠다
그 외 문제들은 아직 못풀어서 빨리 풀어보고 공부해야겠다
class 3 : 2178 미로탐색
bfs는 아직도 어려운것 같다.  bfs 문제를 더욱 접해서 익숙하게 해야 할 것 같다. 
class 3 : 2579 계단 오르기
조금 쉬운? DP 문제를 풀었다...
DP는 상향식 하향식이 있고 메모리제이션 방법으로 전에 기록을 갱신 하면서 하는게 있는데
이번에 한건 각 계단마다 최대 점수를 저장을 한 뒤에 특정 패턴 찾아서 그걸 점화식으로 변환후
코드를 작성을 했었다.
DFS+BFS: 7568 토마토
처음 보는 3차원 그래프 문제였다. queue를 이중으로 중첩해서 선언해야해서 풀어야해서 어려웠다.
좌표를 이동할 때는 이동용 배열을 따로 선언해서 기존 좌표값에 더해서 사용하는 것이 생각하기 쉽다.
class3 :2630 색종이 만들기

분할정복을 사용해서 푸는 문제로 이번주에 푸는 문제 중에서 쉬운 편에 속했다

🧐 [어려웠던 부분]

BFS에는 익숙해졌지만, DFS로는 풀어보지 않아서 DFS는 어려운 것 같다. 
보통 BFS로 풀 수 있으면 DFS도 가능하던데 시간분배를 잘해야 할 것 같다.
같은결로 재귀가 있는데 재귀문제가 결과를 예측하기 힘들어서 어떤 곳에 사용할지 감이 아직은 안잡히는 것 같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