🤓 [이번 스터디 공부한 내용]

class3: 1931번 회의실 배정 
운영체제에서 앞에 실행하던 친구가 끝나야 다음 친구가 실행할 수 있다!
자료구조에 따라 시간복잡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적절한 자료구조를 사용해야한다. 
DFS/BFS문제들은 각각의 방식대로 문제를 풀 수 있다. -> DFS로 풀 수 있으면? BFS로도 가능하다. 
class 3: 14503 로봇 청소기
불필요한 조건을 추가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조건식 작성에 유의하자
bfs를 선택해야 할 지 dfs를 선택해야 할 지 잘 모르겠다.. -> 좀 더 많은 케이스를 학습해야 함
(위 문제에서 공부한 내용은 아니지만) 파이썬의 round() 함수는 사사오입(?)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몫이 짝수이고 나머지가 0.5이면 내림으로 처리됨
문제집 : 2606 바이러스 
힙 정렬을 오랜만에 보니 헷갈렸다. 처음 배울때도 헷갈려 했었던거 같은데, 
헷갈리고 어려웠던 부분을 잘 정리해야겠다고 생각했다.
class 3: 1927 최소힙
dfs가 확실히 어렵다. 다음에 문제를 풀 때 bfs보단 dfs로 한 번 풀어봐야겠다.
자료구조 선택 및 함수 사용에 따라 시간초과가 날 수있다.

문제집 2644 : 촌수 계산
DFS 재귀방식을 통해 문제를 풀었는데,
BFS 큐를 사용하여서 풀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.

🧐 [어려웠던 부분]

재귀방식은 결과를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. 문제를 풀 때에는 방향을 선언하는 것이 헷갈렸는데 수학의 좌표
와는 다르게 배열로 직접 작성해보니 이해할 수 있었다. 
문제 제목부터 나타나있는 자료구조는 선정하는데 많은 생각이 필요하지 않지만, 힌트가 없을경우 
적절한 자료구조를 선정하는 것이 어렵다.